
장애학의 개념 장애학은 장애의 결과, 의미, 특성 등을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다루고자 하는 학문 분야로서 장애 역사, 이론, 법률, 정책 윤리, 기술 등을 포함하는 다학문적 과정입니다. 또한 장애와의 직접적인 경험을 강조하면서 최근에는 장애인의 시민권이나 삶의 질 개선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장애학이라는 용어가 처음 등장한 것은 198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19876년 사회과학협회의 만성질환, 손상, 장애연구를 위한 분과가 장애학을 위한 협회로 이름을 개칭하면서 처음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며, 그해 장애학과 관련한 학술적인 내용을 담은 Disabilities Studies Reader라는 이름의 저널이 처음 출간되면서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습니다. 이 협회가 정의하는 장애학의 정의는 장애에 대한 인문..

1. 장애 수용 과정 이해의 필요성 선천적인 장애의 경우 장애의 수용이 성장 과정에서 이뤄지는 반면 중도 장애의 경우는 장애의 수용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으며 이를 현실적으로 극복하고 심리적 내상을 극복하도록 지원하는 일련의 과정이 필요합니다. 중도 장애인의 경우 장애로 인한 신체적·정신적 관계의 붕괴와 심리적으로 깊은 내상을 경험하고 과거 느껴보지 못한 깊은 혼란과 절망 및 고통을 겪게 됩니다. 또한 현실에서의 예상치 못한 갈등과 좌절을 통해서 생애 최초로 겪는 최악의 공포와 두려움, 경제, 불신 등을 경험하면서 극도의 혼란을 겪게 됩니다. 이와 관련하여 고려할 부분은 선천적인 장애 및 영유아기의 장애를 가진 경우와 중도장애, 즉 교통사고, 산업재해 및 질병에 따른 뇌졸중, 뇌손상, 절단, 실명 등의 장..

1. 장애인 UN의 장애인 권리선언(UN 총회 제30차 결의 3447, 1975,12.9)은 장애인의 통상적인 생활에 통합될 수 있도록 필요한 권리들을 보호할 수 있는 공통적 기반과 준거틀을 선언하면서 제1조에서 "장애인이라 함은 선천적이든 후천적이든 신체적, 정신적 능력의 불완전으로 인하여 일상의 개인적 또는 사회적 생활에서 필요한 것을 확보하는 데 자기 자신으로서는 완전하게 또는 부분적으로 할 수 없는 사람을 의미한다"라고 정의하였습니다. 2. 장애에 대한 관점의 변화 장애인에 대한 관점의 변화는 장애가 개인적인 비극으로 보는 관점에서 장애원인이 사회에 있다는 사회적 문제로 보는 시각으로 바뀌었습니다. 국제장애 분류의 변천과 진화를 먼저 살펴보면 복지 패러다임은 복지서비스의 공급자, 즉 전문가 관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