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달장애인을 위한 복지시설 발달장애인을 위한 복지시설은 장애인복지법 제58조의 규정에 따라 크게 장애인 거주시설, 장애인 지역사회 재활시설,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장애인 의료재활시설, 장애인 생산품 판매시설 등으로 구분됩니다. 발달장애인을 위한 복지시설에 대해 정리합니다. (1) 장애인 거주시설 일반 가정에서 생활하기 어려운 장애인에게 거주 공간을 활용하여 일정 기간 동안 요양, 거주, 지원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시에 지역 사회 생활을 지원하는 시설로 장애 유형별 거주 시설, 장애 영유아 거주 시설, 중증 장애인 거주 시설, 장애인 공동 생활 가정, 장애인 단기 거주 시설로 구분합니다. 장애 유형별 거주 시설 : 장애유형이 유사하거나 같은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이용하게 하여 그들의 장애유형에 적합한 ..

1. 개요 - 영화소개 : 사고로 인해 시각 장애인이 된 베스트셀러 작가 빌 오클랜드와 남편의 사업과 관련한 사건과 연루되어 100시간의 사회봉사 명령을 받고 시각장애인센터에서 빌 오클랜드에게 학생들의 리포트를 읽어주는 봉사를 하게 된 수잔 더치만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영화입니다. - 감독 : 마이클 메일러 - 각본 : 존버펄로 메일러 - 원작자 : 다이낸 피셔 - 제작사 : Michael Mailer Films - 출연진 : 알렉볼드윈(빌 오클랜드 역), 데미무어(수잔 더치만 역), 딜런 맥더먼(마크 더치만 역), 에덴 엡스타인(엘라 역), 비바 비앙카(디에나 역), 스티븐 프레스콧(개빈 오코너) - 제작 : 2017(한국 2020 개봉) 2. 줄거리 5년 전 사고로 인해 시각 장애인이 된 베스트셀러 작..

1. 개요 개인병리학적 관점은 장애에 대한 개념을 의료적 혹은 개인적 관점에서 바라본다는 측면에서 시작합니다. 이 모델은 서양의학의 인간완전체(integral part)에서 출발한 것으로 장애 개념을 신체기능에 맞추어 의학적 측면에서 완전체가 아닌 경우는 곧 비정상으로 판정하는 것이며, 그 원인과 책임 역시 개인에게 있다는 것입니다. 즉, 이 모델은 장애 개념을 사회환경과 분리하여 생각합니다. 따라서 질환, 사고 기타 원인으로 장애를 가지게 되고 이것으로 인한 심리적 문제 역시 장애인의 개인적인 문제로 치부합니다. 2. 개인병리학적 관점의 장애개념의 특징 개인병리학적 관점의 장애개념은 첫째, 장애를 전문가적 시각으로 접근하려 하며, 둘째, 생물학적 혹은 환경적인 상태의 조작을 포함한 예방을 강조하며, 셋..

장애학의 개념 장애학은 장애의 결과, 의미, 특성 등을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다루고자 하는 학문 분야로서 장애 역사, 이론, 법률, 정책 윤리, 기술 등을 포함하는 다학문적 과정입니다. 또한 장애와의 직접적인 경험을 강조하면서 최근에는 장애인의 시민권이나 삶의 질 개선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장애학이라는 용어가 처음 등장한 것은 198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19876년 사회과학협회의 만성질환, 손상, 장애연구를 위한 분과가 장애학을 위한 협회로 이름을 개칭하면서 처음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며, 그해 장애학과 관련한 학술적인 내용을 담은 Disabilities Studies Reader라는 이름의 저널이 처음 출간되면서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습니다. 이 협회가 정의하는 장애학의 정의는 장애에 대한 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