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대 및 중세시대 먼저 서구의 고대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은 구약, 그리스·로마 시대, 신약시대로 나눠 살펴볼 수 있습니다. 구약에서는 장애인에 대한 동정과 보호와 함께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고 그리스·로마시대의 스파르타에서는 신체 기형인 영아를 살해한 기록이 있으며 아테네는 장애인에게 공적 지원을 한 역사가 있고 로마의 법은 장애인의 구체적 권리를 열거하기도 하였습니다. 신약에서는 장애가 하나님의 권능을 보이기 위한 수단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중세 서구는 장애가 조상의 죄악에 대한 신의 처벌이라는 인식을 보입니다. 즉 장애아동은 어머니가 마법을 사용하기 때문이며 사악한 영혼, 악마, 마법, 신의 불만의 결과라고 봅니다. 지적장애, 정신질환, 농, 간질(뇌전증) 등은 초 ..

자폐성 장애의 개념 발달장애는 어떤 특정 장애범주만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질병을 제외한 인간의 성장발달과정에서 22세(만 21세)에서 장애가 나타나면 발달장애로 봅니다. 우리나라에서 이러한 발달장애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것은 1990년대 초반으로 추정됩니다. 그러나 그 용어의 개념 정의는 사용하는 사람에 따라서 다르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정부가 장애인복지법 전문을 1999년 2월 8일에 개정하고 1999년 12월 31일 동법 시행령과 시행규칙의 전문을 개정하여 장애범주를 확대하고 장애 개념을 재개념화 하면서 발달 장애라는 장애 명칭을 공식으로 사용하였으며 발달장애의 개념을 자폐증으로 정의하여 사용하였습니다. 그러나 장애인복지법이 2007년 전면 개정되면서 다시 자폐성 장애로 명명하게 되었습니다..

우울장애 일생에 한 번 이상 성인 10명 중 1명 정도가 우울증을 경험한다고 합니다. 어떤 연구에서는 일생 동안 우울증을 경험할 확률이 30% 정도에 이른다고도 합니다. 이런 우울증에 잘 걸리는 유전적이거나 체질적 요인 또는 내분비대사나 신경생화학적 물질의 이상, 비관주의자, 강박적 성격, 낮은 자존감의 소유자, 또는 의존적 성격을 가진 사람에게서 흔히 발생합니다. 우울하고 저조된 정서 상태가 주축이 되어 일어나는데 가끔은 기분이 좋아지는 상태인 조증과 교대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우울상태의 비교적 가벼운 시기 또는 초기에는 모든 생활과 체험에서 신선한 정서적 표현이 없어지고 일상적인 일에 관심이 없어지고 기분이 좋지 않으며 자신과 어딘가 예전과는 다른 목석과 같은 사람이 된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정신장애의 개념 인격장애, 기질적 정신병을 포함한 정신병, 기타 비정신병적 정신장애를 가진 자로 의학적 진단분류에 따라 정신과 전문의에게 진단명을 부여받은 자를 정신장애인이라고 합니다. 진단분류방법에 따라 정신장애를 분류하는 방법을 여러 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뇌의 기질적 장애로 인한 기질성과 심리, 사회적 영향으로 인한 가능성으로 분류하며, 때로는 증상에 따라 양성과 음성으로 분류하기도 합니다. 양성은 정상기능의 왜곡이나 과잉을 의미하며 음성은 정상 기능의 감소와 상실을 의미하는데 양성은 급성으로 망상이나 환각이 대표적인 예이며 음성은 만성으로 무어증, 감정둔마, 무의욕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정신분열 정신분열증은 행동을 현실로부터 분리시키는 격심한 경험인 정신적 기능들의 분절, 성격 내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