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념 사람의 뇌는 골, 뇌수라고도 하며 아래쪽에 이어진 척수와 함께 중추신경계를 구성한다. 뇌는 두개강 안에 수용되고, 척수는 척주관 안에서 각각 보호받습니다. 사람의 신경계는 가장 고도의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복잡한 구조로 신경계의 분화가 이루어져 있습니다. 뇌병변장애란 중추신경의 손상으로 인한 복합적인 장애로 뇌성마비, 외상성뇌손상, 뇌졸중 등 뇌의 기질적 병변으로 인해 보행 또는 일상생활 활동에 제한을 받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뇌의 일반적인 구조는 대뇌, 소뇌, 간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대뇌는 기억, 사고, 판단, 감정조절을 담당합니다. 소뇌는 불수의 운동, 몸의 균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간뇌는 감각연결, 체온, 혈압, 혈당 등을 조절하며 수면 등의 신체항상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1. 영화 템플그랜딘 소개 감 독 : 믹 잭슨 주 연 : 클레어 데인즈(템플 그랜딘 역) 조 연 : 줄리아 오몬드(엄마 역), 캐서린 오하라(이모 역), 데이빗 스트래던(칼락 교수 역) 시대배경 : 1950~80년대, 주인공 템플 그랜딘이 태어난 1947년은 자폐증 진단이 시작된 지 4년 정도 되었을 때 2. 템플그랜딘 줄거리 “나의 이름은 템플 그랜딘입니다. 남과 좀 다르죠. 전 그림을 통해 사고하고 생각을 키워 나갑니다.”라고 주인공이 큰 소리로 또박또박 이야기하는 것으로 영화는 시작합니다. 영화는 템플의 이야기를 각 장면별로 연도를 표시하며 회상의 장면을 통해 현재와 과거를 섞어서 이어갑니다. 그래서 편의상 연도별로 영화의 줄거리를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1951년 엄마는 의사를 통해 템플이 자폐증이..

2. 지체장애(2) 2) 분류 및 발생 원인 (3) 사지절단 사지절단은 사지의 일부를 잃어버린 상태를 말하는데 하지절단의 경우에는 주로 보행에 지장이 있으며 상지절단의 경우에는 대부분 일상생활동작과 작업에 지장을 받게 됩니다. 의지제작기술이 향상되었고 근래에 많은 새로운 재료들이 개발되어 절단자도 의지를 착용하고 훈련을 잘 받으면 사회생활이나 직장생활을큰 어려움없이 할 수 있게 되어가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은 외관상 문제 때문인지 다른 장애인에 비하여 심리적 갈등이 심한 듯합니다. 절단은 태아 시절에 발육부진으로 선천적으로 태어날 때부터 있었던 경우도 있으나 이 경우는 매우 드물며, 대부분 후천적 요인으로 질병으로 인한 수술 등으로 절단한 경우나 외상에 의하여 절단된 경우입니다. 외상으로 인..

1. 장애의 유형별 특성 장애유형은 그 정의나 기준에 따라 여러 종류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2007년 개정된 장애인복지법 제2조에서 장애유형을 크게 신체적 장애와 정신적 장애로 분류하고 있으며, 동법 시행령 제2조에서는 장애종류를 지체, 뇌병변, 시각, 청각, 언어, 지적, 자폐성, 정신, 신장, 심장, 호흡기, 간, 안면변형, 장루, 간질장애를 장애범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장애의 분류는 아래와 같습니다.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신체적 장애 외부신체 기능의 장애 지체장애 절단 장애, 지체 기능 장애, 관절 장애,변형 등의 장애 뇌병변장애 중추신경의 손상으로 인한 복합적인 장애 시각장애 시력장애, 시야결손장애 청각장애 청력장애, 평형기능장애 언어장애 언어장애, 음성장애 내부기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