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포스팅에서는 장애아동 평가의 의의와 중요성 그리고 대표적인 평가 모델인 생태학적 모델을 알아보고 Scherer이 개발한 평가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여러 가지 주요 사항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평가의 의의와 중요성 한 아동에게 문제가 있는지 장애 유형이 무엇인지 판단하기 위해서는 많은 정보가 필요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정보를 얻기 위해 아동의 발달사를 알아보고 직접 관찰하기도 하고 여러 검사를 실시하여 발달 영역의 수준을 파악하게 됩니다. 또한 정보를 모으고 그 정보를 분석하여 장애의 원인과 발달 수준을 밝히는 과정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먼저 측정(measeurenment), 진단(assessment), 평가(evaluation)의 개념을 알아보겠습니다. 측정은 악력, 키, 몸무게 등과 같이 단순..

이번 포스팅에서는 장애 진단과 평가의 이해 중 장애 진단에 대한 이해를 다뤄보려고 합니다. 진단에 대한 이해 먼저 누가 장애 진단의 대상이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진단이 필요한 많은 학생들이 있다고 할 때 첫 번째로 진단의 대상이 되는 학생들은 특수교육 서비스에 의뢰되어 특수교육 서비스를 받는 학생들이 될 것입니다. 두 번째로 특수교육에 의뢰되는 과정에 있는 학생들이 될 것입니다. 세 번째는 학습에 분명한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이 진단의 대상이 될 것입니다. 그리고 이 외에도 학급 안에 있는 모든 학생들이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진단을 통해 학생들의 강점과 약점이 무엇인지에 대한 정보를 얻고 학생들에게 어떻게 해야 가장 잘 학습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다음은 왜 ..

미국 미국은 1973년 재활법을 통해 연방 정부와 계약관계에 있는 15인 이상 기업에 대해 적극적 고용조치(affimative action)를 의무화하였고 신체장애인, 정신장애인, 정서 장애인에게 직업재활서비스 제공을 규정하였습니다. 미국의 장애인법에서는 고용에 대한 접근을 향상하였고 장애인 근로자를 위한 효과적 해결책의 제공, 고용주가 장애인 근로자를 고용하고 유지하려는 의사 향상하여 15인 이상 고용 기업에 적용하였습니다. 장애인고용담당 연방기관은 연방기관 장애정책을 검토하고 평가하는 국립장애평의회가 있고 사업가, 노조, 재활서비스 기관, 장애인 가족 및 당사자에게 정보, 훈련 및 기술 지원을 제공하는 대통령 장애인 고용위원회가 있습니다. 보호고용 관련법으로는 중증장애인에게 직업평가와 훈련서비스를 제..

장애인 고용의 의미 고용은 생계유지 수단이며 사회적 지위를 보장하고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을 부여받고 직업적·사회적·심리적 욕구충족의 주요 수단이 됩니다. 장애인 고용은 노동권과 생존권을 보장하기 위하여 기본적인 인권에 바탕을 두고 사회적 공동책임을 통해 비장애인과의 고용평등을 추구함으로써 진정한 근로와 일상생활의 정상화를 실현하는 것을 기본 이념으로 채택하고 있습니다. 장애인 고용의 유형 장애인 고용의 유형에는 일반고용, 보호고용, 지원고용의 형태가 있습니다. 일반고용은 장애인 의무고용제와 장애인 차별금지법에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 장애인의무고용제는 할당고용제( Quota System)라고도 하며 각국에서 다양한 의무고용률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장애인의무고용제의 장점은 일정 비율의 장애인 고용을 확보할 수..